아무래도 요즘은 맞벌이 부부들이 많아서, 아이를 막상 낳으면 어떻게 돌보지? 육아휴직을 한다고 하면 쉬는 동안 수입이 없는데 어떡하지 하는 걱정들이 많이 있을 것입니다.
충분하지는 않지만 어찌 됐든 정부에서 도움이 될만한 정책들을 좋은 방향으로 많이 바꿔 내놓은 것 같습니다.
실제 도움이 될만한 것들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 육아휴직급여 월 상한액 - 150만원 -> 250만원
- 육아휴직급여 총 지급액 - 1800만 원 -> 3210만 원
- 사후지급금 제도 - 급여의 25% -> 폐지
- 배우자 출산휴가 - 10일 -> 20일
- 난임치료 휴가 - 연간 3일 -> 연간 6일 (2일 유급)
-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 요건 - 부부합산 1억 3천만 원 이하 -> 부부합산 2억 5천만 원 이하
1. 육아휴직급여 인상
육아휴직급여가 100만원이나 인상됩니다. 연간 총 지급액으로 보면 2310만원이 됩니다.
물론 아이를 키우기에 돈은 계속계속 필요하겠지만, 그래도 충분히 도움이 될 만한 금액입니다. 임신과 출산을 고민하는 맞벌이 부부들에게는 희소식이 아닌가 싶습니다.
1-3개월 휴직할 경우 월 250만 원, 4-6개월 - 월 200만 원, 7-12개월 - 월 160만 원으로 지급액이 다릅니다.
육아 휴직 중에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부부가 맞벌이라면 계획을 잘 세워서 이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배우자 출산휴가
배우자의 출산 휴가가 20일로 늘어 났습니다.
3. 난임치료 휴가
난임치료 휴가 기간도 늘어났습니다.
기대효과
2025년부터 새롭게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 시행되는 정책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이 점점 더 좋은 방향으로 변하고 있고, 최대한의 지원을 해주려는 노력들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맞벌이 부부들도 아이를 낳는것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혜택들이 있으니, 도움이될 만한 정보들을 잘 찾아보고 이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을 준비하는 예비 아빠를 위한 영양제 ( 필수 성분, 성분의 효능, 제품 추천 ) (1) | 2025.01.12 |
---|---|
임신을 준비하는 예비 엄마를 위한 필수 영양제 ( 필수 성분, 성분의 효능 ,제품 추천 ) (0) | 2025.01.12 |
임산부 보험은 필수일까? ( 임산부 보험 필요성, 보장 내용 및 유의사항 ) (0) | 2025.01.12 |
안양시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원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출산지원금, 임신축하금, 산후조리비 지원,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등 ) (2) | 2025.01.12 |
임신 준비 가임력 검사비는 어떻게 지원받을 수 있을까? ( 산전 무료 검사 혜택, 가임력 검사 신청 방법 ) (2)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