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구석기 시대 ( 약 70만 년 전~약 1만 년 전) ~ 신석기 시대 ( 약 1만 년 전~ 기원전 2000년경)
본문 바로가기
정보

1. 구석기 시대 ( 약 70만 년 전~약 1만 년 전) ~ 신석기 시대 ( 약 1만 년 전~ 기원전 2000년경)

by 홈프로텍터누르미 2025. 8. 7.
반응형

1. 구석기 시대 ( 약 70만 년 전~약 1만 년 전)

구석기 시대는 인류가 자연환경에 의존하며 생존하던 시기로 본다. 농사는 짓지 않았으며, 사냥과 채집을 통해 식량을 확인하여 생활하였다. 처음 불을 사용하기 위해 시작하면서 생활에 여러 가지 변화가 생겼다. 

주로 주먹도끼, 찍개, 슴베찌르개 같은 뗀석기를 활용하여 생활하였다. 이는 돌을 깨서 만드는 단순한 도구 들이었다. 동물의 뼈나 나무를 도구로 활용하기도 했으며, 불을 사용하여 요리하고 집을 데워 난방 역할도 했으며 짐승을 쫓는 용도로도 사용하였다.

주거 생활로는 동굴이나, 큰 바위의 그늘, 강가 등 자연의 지형을 이용하여 생활하였으며, 기후가 추워지면서 막집 같은 임시 거처도 조금씩 사용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영향 상원 검은모루동굴, 충분 단양 상시 유적, 경기 연천 전곡읍 전곡리 등에서 이 시대 집터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주로 혈연을 중심으로 작은 무리생활을 하였다. 이 당시는 재산이나 계급이 없었으므로 평등사회라 부른다. 남녀의 역할이 분담되어 있는데, 남자는 사냥 여자는 채집을 주로 하였다.

문화적인 면을 보면 주술적 의미의 예술이 존대한다. 조각품이나 동굴 벽화 등이 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흥수아이 유골, 빗살무늬토기 전 단계의 원시 토기가 있다.

대표적인 유적지는 평양의 상원 검은모루 동굴, 충분 단양의 상시 유적에서는 인류의 뼈가 발견되었다. 경기 연천의 전고리 유적에서는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발견되었다. 강원도 양구 상무룡리에서는 다양한 석기가 출토되었다.

구석기 시대의 핵심 키워드를 짚어보면 뗀석기, 사냥, 채집, 이동 생활, 자연 동굴, 불사용, 평등사회, 전곡리 유적으로 볼 수 있다. 

구석기의 다음은 신석기로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고 간석기를 사용했으며 빗살무늬 토기의 등장 등등의 여러 가지 변화들이 있다. 

 

2.신석기 시대 ( 약 1만 년 전 ~ 기원전 2000년경)

 

신석기 시대에는 기후 변화로 인해 빙하기가 끝나고 날이 좀 따뜻해졌다. 인간이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며 점차 정착 생활로 전화하는 시기이다.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신석기 문화가 시작된 건 약 기원전 8000년경으로 보고 있다.

주 생활 도구로는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구석기와 다르게 돌을 떼어서 만든 것이 아닌 갈아서 만든 형태로 한단계 진화한 형태이다. 갈돌, 갈 판, 들소는, 드러나는 들이 있다. 또한 토기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토기로는 빗살무늬 토기가 있다. 이것들은 곡식을 보관하고, 조리하며 물을 저장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또한 옷을 만들고 그물을 제작했다는 증거로 가락바퀴, 뼈바늘과 같은 도구들의 사용도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농사를 시작하며 조, 기장 같은 잡곡을 재배하기 위해 시작하였으며, 개돼지 등 가축을 기르는 목축 생활도 시작되었다고 본다. 여전히 사냥과 채집 낚시도 병행하였다.

주거의 형태도 변화하였다. 움집에 정착하였다. 강가나 해안 근처의 평지에 바닥을 둥글거나 네모나게 파고 지붕을 얹은 형태의 집이다. 대표적인 유적지로 서울 암사동 유적, 부산 영도구 동삼동 유적, 제주 고산리 유적 등이 있다.

사회의 구조도 변화하였다. 씨족 사회, 혈연 중심의 사회가 형성되었고, 모 것이 중심의 사회였다. 여성이 식량 생산에 기여하였으므로 여성이 중심이 되는 사회구조이다. 이때까지도 평등한 사회를 유지하였고, 공동체 생활, 공동 노동을 하였다.

문화와 종교도 생겨났다. 자연을 숭배하고,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과 같은 숭배 문화가 생겼다. 장례 의식 또한 시작되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암사동의 움집, 빗살무늬 토기가 있으며 부산 영도구 동삼동의 조개더미(패총), 어로 생활 흔적과 제주도 한경면 고산리의 신석기 유물이 다수 출토되었다.

핵심적인 키워드들은 간석기, 빗살무늬토기, 농경과 목축 시작, 움집 정착, 모계사회, 등 공동체, 암사동 유적 등으로 볼 수 있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