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부터 1980년까지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황폐해진 국토를 복구하고, 경제를 다시 일으키며 성장시키는 현대화로 나아가는 경동키라 볼 수 있습니다. 정치적 독재와 권위주의가 있기는 하나, 동시에 엄청난 경제 성장을 이루기도 한 양면적인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가 이어진 배경에는 전쟁으로 인해 국토는 폐허가 되었고 산업의 기반은 붕괴한 상태였습니다. 사망자와 부상자 또한 수백만에 이르렀습니다. 인당 국민의 소득 수준은 67달러 정도로 세계 최빈국 수준이었습니다. 사회적으로 불안하고 식량 또한 부족하며 외화도 부족한 그야말로 절망적인 상황이었다고 봅니다.
1953년부터 1960년까지 이승만 정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의 원조에 크게 의존하며 식량과 물자 자금을 조달받았습니다. 미국의 주도하에 자유시장 경제체제를 유지해 나갔고, 산업보다는 생필품 공급 위주의 생계 경제를 중심으로 발전해 나갔습니다.
정치적으로는 반공주의를 강조하고, 복직통일론, 공산당 탄압을 내세웠습니다. 1956년에 부정선거를 하고, 야당을 탄압하는 등의 행위가 이루어졌습니다. 결정적으로 3.15부 정전 거는 국민들의 분노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960년 4월 19일 4·19혁명이 일어납니다. 부정선거 규탄 시위를 벌이고 수천 명의 대학생들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큰 혁명이었습니다. 하지만 경찰의 발포로 인해 수십 명이 사망하고, 이승만은 하야하고 망명하였습니다.
1960년부터 19061년은 장면 내각과 혼란의 시대라고 부릅니다.
제2공화국이 출범하였고, 민주주의 체제와 의원내각제를 내세웟습니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혼란하고 경제적으로 무능하여 너는 국민들이 실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이 확산하며 북한의 도발이 등가하고 경제는 침체하여갔습니다. 결국은 이러한 혼란한 상황을 틈타 군부가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961년부터 1979년은 박정희 정권의 산업화 시대라고 봅니다. 박정희는 이런 혼란한 상황을 틈타 군사적인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뒤, 독재 정치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진하였습니다.
박정희 소장이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1961년 5.16 군사정변이라고 합니다. 국가재건최고회의를 구성하며 군사 정치를 실시하였고, 반공과 국가 안보를 강조하며 정치인들을 숙청하였습니다.
경제개발과 산업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제개발 5개년을 계획하였습니다. 1962년에 시작하여 총 7차까지 이어졌습니다. 산업의 기반을 확충하고 수출 중심의 경제로 전환하자는 목표로 시작되었습니다.
먼저 섬유, 의류 등의 수출을 확대하며 경공업을 육성시켰습니다. 이어 철강, 조선, 기계, 석유화학 등 대규모 산업을 성장시키며 중화학 공업을 육성시켰습니다. 이후 국산 철강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산업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1973년 포항제철을 설립하였습니다. 이서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경부고속도로를 개통하였고 이는 물류의 혁신이었습니다. 더불어 농촌의 근대화 운동을 추진하고 마을을 정비하고 자립을 강조하며 새마을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개발의 결과로 수출 중심의 산업구조로 전환 할 수 있었고, 연평균 경제 성장률릐 9-10퍼센트 이상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세계 최빈국에서 중진국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한강의 기적이라 부릅니다. 1인당 국민소득이 1,000ㄷㄹ러를 돌파하는 엄청난 쾌거를 이룹니다.
이 시기가 밝은 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정치적인 제가 변화했습니다. 1963년 제3공화국이 출범하였습니다. 또 박정의 대통령이 당선된 것입니다. 1967년 재선을 통해 장기적인 집권을 노렸습니다. 1972년 유신헌법을 선포하며 제 4공화국이 출범합니다. 이 유신헌법은 대통령 직선제를 폐지하고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수장을 선출하는 방식입니다. 대통령 6년 연임 제한 사항을 철폐하고 긴급조치권을 부여하는 등 독재정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사실상 종신집권 체제를 구축하였다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정치적으로 탄압도 들어갔습니다. 언론의 자유를 없애고 언론을 검열하고 야당을 탄압하며 인권을 침해했습니다. 긴급조치 9호 등 헌법 위반을 처벌하고 민주화 운동들과 학생을 지식인들을 무단 투옥하는 등의 행위들을 이어갔습니다.
사회는 많이 변화하였습니다. 농촌의 인구는 도시로 대규모 이동하였고, 조시 빈민 슬럼 지역이 증가하며 열악한 노동환경들이 지속되었습니다. 낮은 임금과 장시간 노동, 열악한 작업환경들의 문제가 지속되었고, YH 여성 노동자 농성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여공들이 생존권을 요구하는 운동이었습니다. 노동자와 학생들의 민주화 요구가 점차 확대되었습니다.
박정희 정권은 10.26 사건을 계기로 종말에 다가갔습니다.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며 유신체제의 종말을 맞이했고, 정치적일 공백이 발생했습니다. 최규하가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과도정부를 이어갔으나, 1980년 전두환 신군부가 등장하며 12.12 군사 반란이 발생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경제적으로는 세계 최빈국에서 수출 중심 중진국으로 도약하고 중화학 공업의 발전을 이루었고, 조선 등 기반 산업들이 성장하는 시기였습니다. 도시의 인구가 급증하며 도시화 하였고, 정치적으로는 군사정권, 장기독재, 유신체제 등 권위주의를 강화하는 등 사회적으로는 노동착취, 언론탄압 등 민주화를 요구하는 어두운 면모도 있는 시기였습니다.
빈곤을 탈출하고 산업화의 길고 틀어선 시기였으나, 정치적으로는 권위주의와 독재가 지배한 시대입니다. 고속 성장을 국민의 삶을 나아지게 했으나, 동시에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씨앗도 함께 자라난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민주화 시대 ~ 정보화 세계와 시대 (6) | 2025.08.11 |
---|---|
미국 심장 협회가 말하는 좋은 초 가공 식품과 나쁜 식품 (10) | 2025.08.09 |
8. 남북 분단 역사 (해방, 전쟁, 냉전) (4) | 2025.08.09 |
7.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3) | 2025.08.09 |
6. 조선시대 (6) | 2025.08.07 |